클라우드 컨설팅 기업 클라우딘은 일부 AWS 사용자들에게 지금이 구글 클라우드로 바꿀 때라고 밝혔다.
구글 컴퓨트 엔진(GCE, Google Compute Engine)과 아마존 웹 서비스(AWS, Amazon Web Services)는 여러 가지 면에서 비슷하다. 우선 둘 다 수요에 따라 컴퓨트 및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즉 두 서비스의 사용자들은 하드웨어에 막대한 돈을 쓰지 않고도 IaaS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AWS는 구글보다 훨씬 앞서 클라우드 기반 IaaS를 제공해 왔다. 클라우딘(Cloudyn)의 공동 설립자이자 부사장인 바이탈리 테이버는 “수십 여 개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이 서비스의 신뢰도 측면에서 아마존이 구글보다 유리한 고지를 선점한 것은 사실이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GCE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많지 않지만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서비스들이 고성능이어서 소비자들에게 가격 대비 만족도가 높다는 게 테이버의 주장이다.
그렇다면 이제 AWS에서 GCE로 갈아탈 때일까? 적어도 일부 애플리케이션에 한해서는 그렇다고 테이버는 전했다.
서비스 대상
특히 고성능 기기를 필요로 하는 수명이 짧고 단순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구글의 클라우드가 잘 맞을 수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반면 장기간 클라우드에서 관리하며 (웨어하우스 데이터베이스, 로드 밸런스에서부터 도메인 네임 시스템과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복잡한 애플리케이션들의 경우 AWS가 더 나을 것이라고 테이버는 덧붙였다.
AWS에서 GCE로 왜 전환해야 하는지가 궁금하다면 현재 AWS에서 어떤 서비스를 이용중인지 살펴보고 같은 기능들이 구글 클라우드에서도 이용 가능한지 살펴 보자. 구글은 기본 컴퓨트,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데이터 애널리틱스(이름은 ‘빅 쿼리(BigQuery)’다)를 제공한다. AWS는 각각 심플 스토리지 서비스(S3), 엘라스틱 컴퓨트 클라우드(EC2), 엘라스틱 맵리듀스(EMR)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클라우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셰런 와그너는 “클라우딘 사용자들 중 절반 가량이 AWS 클라우드의 기본 컴퓨터 및 스토리지 서비스만 이용하고 있는데, 이는 구글에서도 제공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이것들을 그대로 GCE로 옮겨도 문제가 없을 것이다”고 밝혔다. 클라우딘 사용자의 나머지 절반은 구글이 제공하지 않는 AWS의 고급 기능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전자와 달리 GCE로 옮기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