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와 시스코의 혁신,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포드의 혁신 전략은 실험적 시도를 장려하고, 실패에 대한 책임 전가 보다는 새로운 시도에 대한 보상을 우선시 한다는 게 특징이다.
지난 주 필자는 토론토에 문을 연 시스코의 이노베이션 센터 개관식에 다녀 왔다. 실리콘밸리에 있는 포드의 리서치 & 이노베이션 센터와 시스코의 이노베이션 센터가 비록 매우 상이하긴 하지만 서로 배타적인 관계는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또 테크놀로지 기업에게 두 회사의 접근 방식이 다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겠다 싶었다. 애플이 자동차 산업으로까지 눈을 돌리고 있는데, 머지 않은 미래에 이 두 가지 방식의 융합을 볼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
포드의 리서치 & 이노베이션 센터(Research and Innovation Center)
CES에서 포드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관계, 그 중에서도 특히 빌 게이츠와의 개인적 관계에 대해, 그리고 어떻게 MS가 포드의 차체 내부 테크놀로지 발전에 도움을 주었는지에 대해 얘기했다. 한 때 MS의 테크놀로지와, 그리고 현재는 블랙베리의 QNX와 협력하고 있는 포드싱크(Ford Sync)는 포드에게 엄청난 경쟁 우위를 안겨주었다. 이처럼 테크놀로지 전문가와 자동차 전문가의 협력이 갖는 잠재력을 알아본 포드는 실리콘밸리에 리서치 & 이노베이션 센터를 건설해 테크놀로지에 기반한 경쟁 우위를 더욱 공고히 하고자 했다. 실리콘밸리는 아직까지 세계의 테크놀로지 센터로 건재하다.
이런 류의 테크놀로지 센터는 대개 내부 집중적(inward-focused)이다. 자동차 제작 기획 프로세스 초반부터 혁신적 요소를 시스코 같은 기업들로부터 도입하기 위한 센터라 할 수 있다. 자동차 하나가 전체 기획 단계를 다 거치려면 거의 5년 남짓 걸리기 때문에, 아예 초반에 이러한 요소들을 전제하고 시작하는 것이 안정적이며 출시 기간(time-to-market)이나 제조 라인 비용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도 없다.
또 계획 단계 초반에 혁신적 요소들을 도입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러한 요소가 억지로 도입되었을 때 자동차 업체들에게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내가 만든 것 아니니 상관 없다’는 태도를 경계할 수 있다. 문제가 생기기 전 이를 예측하거나, 생겼을 때 좀 더 신속히 대처하고 강력한 솔루션을 내놓을 수 있도록 협력이 용이해 진다. 이제는 사람이 아닌 컴퓨터가 운전하는 자동차가 등장하는 시대가 됐으며, 그에 따라 문제에 대처하는 자세가 더더욱 중요해졌다.
Rob Enderle 인기칼럼
->칼럼 | 왓슨의 판단, 인류가 수용할 수 있을까?
->칼럼 | 스티브 발머가 마이크로소프트에 남긴 것
->칼럼 | IT 부문과 퍼블릭 클라우드를 둘러싼 오해
-> 칼럼 | 윈도우 RT, 판도 바꿀 MS의 기대주
-> 기업을 바꿀 4가지 소비자 기술
-> CEO를 해고시키는 7가지 첩경
-> 성공하는 CEO의 7가지 공통점
---------------------------------------------------------------
시스코의 이노베이션 센터
반면 시스코식 이노베이션 센터는 외부 집중적이며 주로 외부 고객들이나 방문객들에게 시스코를 소개하고, 특정 산업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시스코와의 협력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토론토 센터의 경우 스마트 시티/빌딩, 헬스케어, 금융에 집중돼 있다. 이들 이노베이션 센터에서 만들어진 것들은 결국 시스코 고객들과 함께 공유하게 되는데 이는 비용을 낮출 뿐 아니라 리스크를 회사 전체로 분산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토론토 이노베이션 센터의 흥미로운 점은 다른 센터들의 성과물을 이용하여 제작 비용을 70만 달러 가까이 절감할 수 있었고, 에너지 소비량과 이동 및 변화에 들어가는 비용 절감은 물론 사용하는 직원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되는 직원 친화적인 업무 공간을 만들 수 있었다는 점이다. 혁신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직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너무나 놀라웠던 나머지 해당 건물을 관리하는 업체에서도 시스코의 혁신 콘셉트들을 자사의 건물에 그대로 적용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