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인공지능에 대한 투자가 향후 5년간 늘어날 전망이다.
시장조사 회사인 글로벌데이터(GlobalData)에 따르면 2024년까지 APAC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전 세계 AI 플랫폼 매출의 약 30%를 차지하며 미화 약 975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비즈니스와 기술을 전문으로 하는 신생기업 수가 증가하고 더 향상된 컴퓨팅 기능을 지원하는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이 수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Dreamstime
글로벌데이터의 수석 ICT 애널리스트인 서닐 쿠마 버마는 APAC 시장이 이미 오프라인 자동화, 비즈니스와 기업 자산의 안전 및 보안을 위해 딥러닝 기반 AI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버마는 “소형 기기의 컴퓨팅 속도가 향상되도록 AI 하드웨어가 최적화돼 비용을 절감하고 딥러닝 채택을 유도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그는 딥러닝이 APAC의 기술 발전을 향한 디딤돌이 되고 있지만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버마는 “전문가가 부족하고 소수의 기술회사만이 딥러닝을 위해 인력을 투자하고 고용하며 교육하는 데 주력하고 있어 딥러닝 도입의 성공을 목격하기 전에 몇 가지 초기 난관이 있을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APAC에서 데이시(Daisee)와 호주의 코그니티브 소프트웨어 그룹(Cognitive Software Group) 등 일부 기업은 이미 자사 제품 개발에 딥러닝을 사용하고 있다.
데이시는 리사(Lisa) 알고리즘에서 딥러닝을 활용하여 대화 요소를 식별하고 의미를 결정하며 컨텍스트를 도출한다.
코그니티브 소프트웨어 그룹은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모두 사용하여 비정형 데이터에 태그를 지정하여 자연어이해를 높인다.
글로벌데이터는 중국의 센스타임(SenseTime)과 인도의 딥사이트 AI랩(DeepSight AI Labs) 등을 딥러닝을 활용하는 주목할 만한 업체로 지목했다.
센스타임은 안면인식 기술 딥ID(DeepID)로 이미지 인식, 지능형 비디오 분석, 의료 이미지 인식에 딥러닝을 사용하고 딥사이트 AI랩은 자사의 수퍼시큐어(SuperSecure) 플랫폼에 AI를 사용하여 비디오 감시에서 물체와 행동을 감지한다.